[20221108] 자바스크립트 if, switch 조건문 (feat. 항해99 프리온보딩 2일차)
·
TIL
if 조건문 - 혼공스 연습문제 1. 사용자에게 숫자를 입력받아 양수, 0, 음수를 구분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p 140) 2. 사용자에게 숫자를 입력받아 홀수와 짝수를 구분하는 프로그램 만들기(p 140) 3. 현재가 몇 월인지 확인하고, 계절을 구분하는 프로그램 만들기 위의 문제에서 조건을 쓸 때 "3
[20221107]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 (feat. 항해99 프리온보딩 1일차)
·
TIL
1. 불리언 연산 Falsy 값에는 빈 문자열 '', 숫자 0, 불리언 false, null, undefined, NaN가 해당된다. Falsy 값이 아닌 모든 값은 Truthy 값으로 연산되며 결국 true로 평가된다고 이해할 수 있다. 항상 Truthy 로 판단되는 자료형에는 Array와 Object가 있다. 다른 자료형을 가진 값에 강제로 불리언 연산을 적용하려면 Boolean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Boolean('String') // true Boolean('') // false Boolean(undefined) // false 2. 논리 연산자 && (AND 연산자) condition1 && condition2 의 형태로 표현하며, condition1~2는 모든 자료형의 값을 넣을 수 있으며..
[ReactJS] useEffect, Cleanup
·
ReactJS
state가 바뀌면 자동으로 변경된 새로운 값을 가지고 모든 컨포넌트가 처음부터 다시 실행된다. 그런데 이게 괜찮을 때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API로 데이터를 불러오는 코드가 있게 되면 state가 바뀔 때마다 계속 API로 데이터를 불러오게 되어 매우 비효율적이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선 useEffect를 사용해야한다. useEffect에는 두가지 argument가 필요한데, 첫번째는 실행할 구문이 들어가면 되고, 두번째로는 무엇이 변화할 때 첫번쩨 인자인 구문을 실행할지를 정하는 dependency가 들어가면 된다. 즉 다음의 예시에서 두번째 useEffect는 해당 구문이 맨 처음 render할 때 실행되고,또 keyword가 변화할 때 실행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첫번째 예시의 경우 depend..
[ReactJS] props, memo
·
ReactJS
참고로 여기 코드는 node.js를 사용하지 않을 때라서 props를 사용할려면 맨 아래script처럼 해당 링크를 불러와야한다.
[ReactJS] 리액트로 분/시간, Km/Miles 변환기 만들기
·
ReactJS
HTML 코드 아래는 리액트 코드
[ReactJS] useState
·
ReactJS
[JavaScript] preventDefault 함수
·
JavaScript
함수를 실행할 때 단순히 그냥 실행하는 것이 아니고, 함수실행과 관련하여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어떠한 정보를 받아서 그것을 함수의 argument로 넣어서 실행할 수 있다. 그 첫번째 argument는 발생한 event(아래에서는 submit)에 대해 내가 필요로 할만한 정보들을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argument 공간을 제공하여 JS가 정보를 지닌 argument를 채워넣어줄 것이다. 즉 받을 argument를 위한 공간을 아래와 같이 만들어주면 된다. EventListener가 loginSubmit을 실행하면서 브라우저가 event에 대한 정보를 argument로 loginSubmit에게 담아준다. 그리고 그 정보 안에는 몇가지 함수도 같이 들어있고, 그 중에 하나가 preventDefault 함..
[JavaScript] Event
·
JavaScript
event란 클릭을 한다던가 마우스를 올리는 것과 같이 웹사이트에서 일어나는 활동들을 말하고, 자바스크립트는 그러한 event들을 listen하여 설정을 바꾸는 것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1을 클릭했을 때, listen을 하려면 addEventListener 함수를 사용하여 "click" 설정을 추가해주면 된다. const title = document.querySelector(".title h1"); function handleTitleClick() { console.log("title was clicked!"); } title.addEventListener("click", handleTitleClick); 여기서 마지막줄에 handleTitleClick 함수를 넣을 때 ()를 하면 안된다. 우리..